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순신 인성 리더십 포럼

현재위치 :: HOME BLOG CATEGORY SEARCH ARCHIVE TAGS MEDIA LOCATION GUESTBOOK

네비게이션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이순신인성리더십 카페가기
관리자
  • 블로그 이미지
    정랑(停浪)

    김동철(전 중앙일보 기획위원) 이순신 인성리더십포럼 포럼 대표, 교육학 박사, 시사·문화평론가, 전 중앙일보·월간중앙 기획위원, 명지대·성결대 강의교수, 해군협회 연구위원, 저서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우리가 꼭 한번 만나야하는 이순신> <이순신 유적 답사기1> 이순신 장군의 인성 리더십을 통해 나라사랑 忠, 부모사랑 孝, 이웃사랑 禮의 인성 및 리더십을 널리 알리고자 만든 블로그입니다.

    링크추가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김동철칼럼] 이순신의 창의력(創意力), 격물치지(格物致知)

[김동철칼럼] 이순신의 창의력(創意力), 격물치지(格物致知) 김복만 기자 승인 2018.12.17 11:22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정의를 알아보자. ‘사물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여(格物) 지식을 넓히는 것(致知)이다. 격물과 치지는 사서(四書)중 하나인 대학(大學)에서 밝힌 팔조목에 속한다. 주자학으로 불리는 정주학파(程朱學派: 程伊川·朱熹)에서는 격물의 목적은 영원한 이치에 관한 우리의 지식을 넓히는 데 있다고 하면서 치지가 격물보다 먼저라고 생각하였으나, 양명학으로 알려진 육왕학파(陸王學派: 陸象山·王陽明)에서는 오히려 격물이 치지보다 더욱 먼저라고 하였다. 주자의 격물치지가 지식 위주인 것에 반해 왕양명은 도덕적 실천을 중시하고 있어 오늘날 주자학을 이학(理學)이..

칼럼/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2018. 12. 20. 13:16

[김동철칼럼] 이순신 생명의 은인, 약포 정탁

[김동철칼럼] 이순신 생명의 은인, 약포 정탁 김동철 주필 승인 2018.11.05 14:33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부산포 상륙 20일 만에 한성에 무혈입성을 했다. 선조는 이미 임진나루를 건너 개성, 평양, 의주로 줄행랑을 치는 상황이었다. 백성을 버리고 임금이 도망갔다는 소리에 분노한 일부는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등 3개의 궁궐과 노비문서와 재판을 담당했던 형조와 장례원(掌隷院)을 불태웠다. 중요한 국보급 사료 또한 잿더미가 되었다. 일본군이 20일 만에 폭풍처럼 한성에 들이닥칠 수 있었던 것은 조선 육군의 미약함에도 원인이 있었지만, 조선 백성들 가운데 스스로 왜군의 앞잡이가 되어 길을 안내하는 향도(嚮導)들이 ..

칼럼/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2018. 12. 11. 15:19

[김동철칼럼] 이순신의 자급자족(自給自足)

[김동철칼럼] 이순신의 자급자족(自給自足) 김동철 주필 승인 2018.10.04 20:19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이순신(李舜臣) 장군은 ‘농사꾼’으로서 둔전(屯田)을 일궈 수하 장졸과 피난민의 생계를 보장하는가 하면 해로통행첩(海路通行帖)을 발행해 군자금을 마련했고 염전(鹽田)을 일궈 소금을 생산했다. 또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아 시장에서 내다파는 상거래를 활성화시켰다. 이러한 경제 활동은 그가 사물의 이치를 치열하게 궁리한 끝에,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실용적 사고에서 나온 것이다. 1597년 9월 16일 13대 133이라는 격전의 명량대첩을 끝낸 다음날 난중일기다. “어외도(於外島)에 이르니 피난선이 무려 300여 척이나 먼저 와 있었다. 우리..

칼럼/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2018. 12. 11. 15:16

[김동철칼럼] 백성은 군왕(君王)을 버릴 수 있다

[김동철칼럼] 백성은 군왕(君王)을 버릴 수 있다 김동철 주필 승인 2018.11.19 09:41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시구편(鳲鳩篇)이란 왕이 백성을 골고루 사랑해야 된다는 뜻을 뻐꾸기와 비둘기에 비유해서 읊은 시경(詩經, 공자에 의해 편찬된 305편의 시모음)의 편명이다. 현실의 부조리를 기술한 후에 이에 있어야 할 당위, 곧 왕이 백성을 골고루 사랑하고 주인으로 여기는 정치와 세상을 바라고 있다. 그의 말대로, “지극히 천하고 어디에도 호소할 데 없는 사람들이 바로 백성들이요(至賤無告者小民也), 높고 무겁기가 산과 같은 것도 또한 백성이다(隆重如山者亦小民也).” 그 옛날 백성은 왕과 권력자가 볼 때 아무 것도 모르고 어리석은 ‘무지렁이’로..

칼럼/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2018. 12. 11. 15:13

[김동철칼럼] 이순신의 애민(愛民) 정신

[김동철칼럼] 이순신의 애민(愛民) 정신 김동철 주필 승인 2018.09.12 11:03 /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갑오년 1594년(선조 27)은 흉작으로 더욱 기근(饑饉)이 심해졌고 전염병이 창궐했다. 곡물이 귀한 나머지 소 한 마리 값이 쌀 3말에 불과했고, 고급 무명 베 한 필이 쌀 서너 되밖에 안 될 정도였다. 백성들 사이에서는 사람을 서로 잡아먹는 인상식(人相食)의 지옥도가 펼쳐졌다. 급기야 사헌부는 선조에게 식인(食人)의 풍조를 단속해달라고 상소를 올렸다. 기아와 전염병이 극심했던 그해 초겨울 사간원에서 올린 상소는 수군이 처한 처절한 상황을 말해준다. 선조실록 10월의 기록이다. “호남에서는 주사(舟師 수군)에 소속된 지방 수군은 ..

칼럼/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2018. 9. 30. 14:25

'국민 멘토 이순신 유적 답사기1'

[새책]이순신의 자취를 돌아보다 '국민 멘토 이순신 유적 답사기1' 아시아투데이 전혜원 기자 8년 전, 김동철 이순신 리더십 포럼 대표이사는 배낭에 카메라 한 대를 넣고 아산 현충사를 찾았다. 그곳에는 이순신 생가와 묘소, 기념관 등이 많이 남아 있다. 그는 “기념관에서 두 자루의 칼에 새겨진 검명(劍名)을 보는 순간, ‘바로 이 분이다’는 생각에 ..2018-09-01 15:57

언론보도 2018. 9. 5. 14:07

[김동철칼럼] 두 자루의 칼

[김동철칼럼] 두 자루의 칼 김동철 주필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좌우명(座右銘)이 있는가. 그렇다면 그것을 늘 바라보고 지키려는 마음가짐은 되어있는가. 그리고 그 좌우명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는가. 내가 설정한 좌우명이 반드시 손에 만져지는 실익(實益)을 가져다주지 못할지라도 그것과 나와의 보이지 않는 관계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면? 그리고 서로를 믿고 격려해주고 있다면? 일단 성공한 것이다. 실제로 2015년에 작고한 전직 대통령(YS)은 10대 중학교 시절부터 책상머리에 ‘미래의 대한민국 대통령 김영삼’이란 글씨를 써놓고 열과 성을 다한 결과, 정말 대통령이 되었다. 재임기간 공과(功過)를 차치하고서라도 일단 뜻을 이룬 것이다...

칼럼/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2018. 9. 5. 13:57

우리가 꼭 한번 만나야 하는 이순신

PICK 안내 해당 언론사가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언론사 편집판 바로가기닫기 400년전 국난을 겪고도 반성 없는 한국…이순신 장군의 답은 기사입력 2018-07-18 14:18 기사원문 스크랩 본문듣기 설정 아일보] ◇‘우리가 꼭 한번 만나야하는 이순신’/김동철 지음/528쪽·25000원·도서출판 선 신간 ‘우리가 꼭 한번 만나야하는 이순신’ / 김동철 저 책 표지이순신 전문 역사 탐방가인 김동철 이순신인성리더십포럼 대표가 최근 ‘우리가 꼭 한번 만나야하는 이순신’ (이순신 리더십특강)을 출간했다. 평생을 언론인으로 활동한 김 대표는 10년 동안 이순신 문헌 연구와 전국 유적지를 수차례 답사한 뒤 2년 전『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을 펴낸데 이어 이순신 인성과 리더십에 대해서 좀 더 ..

언론보도 2018. 8. 9. 17:57

김동철칼럼] 이순신의 용인술

김동철칼럼] 이순신의 용인술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낭중지추(囊中之錐), 현사(賢士)가 세상에 처함에는 송곳이 주머니 속에 있는 것과 같아 곧 그 인격이 널리 알려지게 된다는 뜻이다. 이런 인재를 알아보는 상관들의 입현무방(立賢無方)과 지인지감(知人之鑑)으로 이순신의 인맥은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다. 이순신은 끊임없이 사람들과 소통을 위해서 글을 썼다. 선조와 조정에 올리는 공문서인 장계(狀啓)와 사적인 편지인 서간(書簡)과 7년 기록 난중일기가 그것이다. 그의 글에는 충효우제(忠孝友悌)의 정신이 있었다. 곧 나라가 위태로우면 나아가 싸우고, 늙으신 부모님에게 효를 행하고 어려움을 당한 친구에게 따뜻함을 보이며 선배의 옳은 일을 믿고 따르는 마음이 ..

칼럼/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2018. 8. 9. 16:51

[김동철칼럼] 종교전쟁

[김동철칼럼] 종교전쟁 김동철 주필 승인 2018.07.03 13:36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1592년 4월 13일 왜군 선봉장 고시니 유키나가는 흰 비단에 붉은색 십자가가 그려진 깃발을 앞세운 채 1만8,000명의 병사를 이끌고 부산포에 기습 상륙했다. 그것은 영락없는 중세의 십자군이었다. 십자가 깃발을 앞세우고 전쟁에 나가는 것은 템플기사단이나 프리메이슨들이 흔히 이용했던 전형적인 종교우월의 과시전략이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그 깃발이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아무도 몰랐다. 일본의 제1군 대장이었던 고니시 유키나가는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다. 1584년에 영세를 받은 고니시는 세례명이 아우구스티노이다. 그의 집안도 모두 천주교로 개종했다. 아버..

칼럼/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2018. 7. 19. 12:38
  • 이전
  • 1
  • 2
  • 3
  • 4
  • ···
  • 38
  • 다음

사이드바

NOTICE

  • 이순신 인성 리더십이란?
  • 출판안내('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영문판 요약)
  • 전체 보기
MORE+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377)
    • 칼럼 (212)
      • 이순신다시쓰는징비록 (22)
      • 인생2막 시론(時論) (40)
      • 이순신 전략과 리더십 (76)
      • 이순신 기고 (10)
      • 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56)
      • 대마도 역사문화탐방 (8)
    • 교육 및 행사안내 (10)
      • 이순신 전성기 캠퍼스 (1)
      • 이순신 서당 (1)
    • 언론보도 (23)
    • 밥상머리부모교육 (16)
    • 문화산책 (27)
      • 광화문저널 (0)
    • 기고란 (0)
      • 학술대회 (0)
      • 관련소식 (0)
    • 축제및기념물 (5)
    • 답사기행문(포토) (73)
    • 동영상 (0)
    • 心象-걸어온길 (1)
    • 가족 (1)
    • 산행 (1)
    • 세계도시여행 (1)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Trackback

TAG

MORE+

ARCHIVE

CALENDAR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LINK

  • 이순신 인성 리더십

VISITOR

오늘
어제
전체
  • 홈으로
  • 방명록
  • 로그인
  • 로그아웃
  • 맨위로
SKIN BY COPYCATZ COPYRIGHT 이순신 인성 리더십 포럼, ALL RIGHT RESERVED.
이순신 인성 리더십 포럼
블로그 이미지 정랑(停浪) 님의 블로그
MENU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이순신인성리더십 카페가기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377)
    • 칼럼 (212)
      • 이순신다시쓰는징비록 (22)
      • 인생2막 시론(時論) (40)
      • 이순신 전략과 리더십 (76)
      • 이순신 기고 (10)
      • 이순신 관련 외부 칼럼 (56)
      • 대마도 역사문화탐방 (8)
    • 교육 및 행사안내 (10)
      • 이순신 전성기 캠퍼스 (1)
      • 이순신 서당 (1)
    • 언론보도 (23)
    • 밥상머리부모교육 (16)
    • 문화산책 (27)
      • 광화문저널 (0)
    • 기고란 (0)
      • 학술대회 (0)
      • 관련소식 (0)
    • 축제및기념물 (5)
    • 답사기행문(포토) (73)
    • 동영상 (0)
    • 心象-걸어온길 (1)
    • 가족 (1)
    • 산행 (1)
    • 세계도시여행 (1)
VISITOR 오늘 / 전체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검색

티스토리툴바